wsl (3) 썸네일형 리스트형 [wsl] mysql 에러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wsl에서 mysql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Can'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var/run/mysqld/mysqld.sock' 이러한 에러가 발생하였다. 해결 방법 sudo mysql 또는 su // root 계정으로 전환 mysql Vmmem 메모리 과다 사용 해결 wsl2로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니 점점 컴퓨터가 느려지는 것 같아서 작업 관리자를 확인해보다가 깜짝 놀랐다.. 이 Vmmem 이라는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미친 듯이 먹고 있는 것 아닌가? 찾아보니 wsl2으로 리눅스를 사용할 때 리눅스의 캐시 저장 방식이 메모리 사용량을 계속해서 증가시키는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 이를 위해서 wsl2가 윈도우의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하는데 의도적으로 wsl2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사용량을 정해주는 것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C:\Users\[사용자_이름] 디렉토리에서 .wslconfig 이라는 파일을 생성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wsl2] memory=(사용할 만큼)GB swap=0 작성 후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고 리눅스에서 메모리 전체 용량을 확인.. wsl2 우분투 설치하기 윈도우 10의 업데이트로 버츄얼박스처럼 wsl을 이용해 리눅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Terminal 설치 wsl을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Microsoft Store에서 Terminal을 설치해줍니다. 필수 설치는 아니지만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설치해줍니다. 2. DISM 명령어 실행 wsl2를 활성화 하기 위해 명령어를 입력해야 합니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위의 두 명령어를 차례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