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이더리움

이더리움2.0과 eWasm

6월에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eWasm을 활용해 솔리디티를 제외하고도 다양한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이 가능하다는 소식을 듣고 알아봤다.

 

이더리움 2.0으로 바꾸는 이유?

최근 몇 년간 블록체인이 주목받기 시작하고 채굴 시장에도 이목이 끌리면서 POW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데에 소모되는 컴퓨팅 파워에 대한 비난이 커지기 시작하자 이더리움에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OS를 사용하는 이더리움 2.0을 발표하였다. 

 

POS와 EVM의 연관성

이더리움에서는 여태까지 EVM을 사용하고 EVM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하기 위해 솔리디티로 코드를 작성했어야 했다. EVM은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이는 POW의 합의 알고리즘 자체가 느려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이더리움 2.0에서 POS로 전환하면서 EVM과의 병목현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대두되자 웹 어셈블리 개발이 가능한 eWasm을 발표하였다. eWasm을 사용하여 속도, 효율성을 개선하며 Rust, C, C++, Go와 같은 언어로도 이더리움 개발이 가능해진다.

 

지금도 pos 전환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지금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eWasm에 대한 정보도 적고 eWasm깃허브의 활동도 적어 실제로 활용될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만약 가능해진다면 Openzeppelin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어 프로젝트의 보안에 도움이 될 것 같다.

 

 

추가) eWasm 깃허브에 표시된 eWasm 공식 홈페이지가 사라져 eWasm으로의 전환은 늦어질 것 같다.

'블록체인 > 이더리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XO(비트코인) vs Account Balance(이더리움)  (0) 2022.06.15
web3.js "Can't resolve ... " 에러 해결  (0) 2022.05.26
EVM 이란?  (0) 2022.05.22
ABI란?  (0) 2022.05.21
트랜잭션  (0) 2022.05.19